본문 바로가기
이슈

학교폭력에 시달린 교사의 비극…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by 이슈독 2023. 7. 20.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일어난 슬픈 사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학교폭력 업무를 담당하던 초등교사가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일이 발생했는데요, 이런 사건이 왜 일어났는지,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함께 생각해 보겠습니다.

 

목차

서울 초등학교 교사 극단적 선택 사건이란?

학교폭력 업무의 어려움과 교사의 고통은?

학교폭력 업무를 개선하고 교사를 지원하는 방법은?

마치며

 

서울 초등학교 교사 극단적 선택 사건이란?

서울 초등학교 교사 극단적 선택 사건은 2020년 7월 18일 오전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발생한 사건입니다. 이날 학교 관계자가 교실에 들어가니 1학년 담임교사 A씨가 숨진 채 발견되었습니다. A씨는 이 학교가 첫 부임지인 신규교사로, 올해 1학년 담임과 학교폭력 업무를 맡았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학교

경찰은 A씨의 가족과 동료 등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였습니다. 조사 결과 A씨는 학교폭력 업무로 인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A씨는 자신이 담당한 학생 중 한 명이 다른 학생에게 성폭력을 가한 의혹이 제기된 사건을 처리하면서 더욱 고민에 빠졌습니다. 이 사건은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 A씨의 담당반 학생이었고, 피해자의 부모는 A씨에게 악성 민원을 제기하고 경찰에 고소까지 했습니다. A씨는 이런 상황에서도 정상적으로 수업을 하고 학생들을 돌보려고 노력했지만, 결국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었습니다.

 

학교폭력 업무의 어려움과 교사의 고통은?

학교폭력 업무란 학생들 간에 발생하는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이나 따돌림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사들이 하는 일입니다. 학교폭력 업무는 피해자와 가해자, 그리고 그들의 부모들과의 상담이나 조정, 학교폭력 예방교육이나 상담심리지원 등을 포함합니다. 학교폭력 업무는 교사들에게 많은 부담과 스트레스를 주는 일입니다. 왜냐하면 학교폭력 업무는 교사들의 전문성과 책임감을 요구하는 동시에, 학생들과 부모들의 갈등이나 민원, 법적 문제 등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학교2

학교폭력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들은 다음과 같은 고통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신뢰를 얻기 어렵습니다.

학생들은 교사가 자신들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편파적으로 대우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가해자나 피해자가 자신의 담당반 학생일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부모들의 압력을 받습니다.

부모들은 자신의 자녀가 피해자나 가해자가 되었을 때, 교사에게 책임을 묻거나 민원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부모들은 자신의 입장만을 고집하거나, 교사의 판단이나 조치에 불만을 표출할 수 있습니다.

 

법적 문제에 휘말립니다.

학교폭력 업무를 하다가 실수나 과실을 범하면, 법적인 책임을 지게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교폭력 사건의 사실을 은폐하거나, 피해자나 가해자에게 부당한 대우를 하거나, 개인정보를 침해하거나, 고소나 고발을 당하거나 하는 경우입니다.

 

정신적·신체적 건강이 악화됩니다.

학교폭력 업무는 교사들에게 많은 스트레스와 부담을 주기 때문에, 정신적·신체적 건강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갑상선 문제, 고혈압, 심장병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교폭력 업무를 개선하고 교사를 지원하는 방법은?

학교폭력 업무의 어려움과 교사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필요합니다.

학교3

학교폭력 업무를 전문화하고 분담합니다.

학교폭력 업무는 단순한 상담이나 조정이 아니라,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한 일입니다. 따라서 학교폭력 업무를 전문화하고, 담임교사가 아니라 전담 교사나 상담심리사가 맡아야 합니다. 또한 학교폭력 업무를 한 명의 교사가 혼자서 하지 않고, 여러 명의 교사가 분담하거나 협업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학교폭력 업무에 대한 교육과 지도를 강화합니다.

 

학교폭력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들은

학교폭력의 원인과 유형, 예방과 대응 방법, 상담과 조정 기술, 법적 책임과 윤리 등에 대해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또한 경험이나 전문성이 부족한 교사들은 선배 교사나 전문가의 지도나 멘토링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학교폭력 업무의 부담을 줄이고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학교폭력 업무는 교사들의 정규 수업과 별도로 하는 추가적인 일입니다. 따라서 학교폭력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들은 수업 시간이나 인건비 등에 대해 적절한 감면이나 보상을 받아야 합니다. 또한 학교폭력 업무의 성과나 노력에 대해 인정하고 칭찬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합니다.

 

학교폭력 업무를 하는 교사의 건강과 복지를 챙깁니다.

학교폭력 업무는 교사들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교폭력 업무를 하는 교사들은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고, 필요하다면 상담이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학교폭력 업무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교사들에게는 휴식이나 여가활동, 동료와의 소통 등을 통해 건강하고 행복하게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학교3

마치며

학교폭력 업무에 시달린 교사의 비극은 우리 모두에게 큰 슬픔과 충격을 안겨주었습니다. 이런 사건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와 지자체, 학교와 부모, 그리고 우리 학생들이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우리는 학교폭력 업무를 하는 교사들에게 감사와 존중의 마음을 전하고, 그들이 어려움을 겪을 때는 도와주고 위로해야 합니다.

 

또한 우리는 서로에게 폭력이나 따돌림을 하지 않고, 친절하고 배려하는 태도로 대해야 합니다. 우리 모두가 안전하고 행복한 학교에서 살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상으로 서울 초등학교 교사 극단적 선택 사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 또 좋은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